글을 시작하기 앞서 먼저 WSL2 + Ubuntu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함.
궁금하다면 나중에 정리해보겠음.
🌟 WSL2 + MySQL + Workbench 연동 전체 과정 정리
1. WSL2 + Ubuntu 설치 (사전 준비)
- Windows에 WSL2 설치
- Microsoft Store에서 Ubuntu (예: 22.04) 설치
2. WSL(Ubuntu)에 MySQL 서버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mysql-server
3. WSL(Ubuntu)에 MySQL 서버 설치
sudo service mysql start
4. root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 + 외부 접속 허용
-- 우분투 터미널에서
sudo mysql
-- MySQL 프롬프트에서
ALTER USER 'root'@'localhost'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원하는 비밀번호';
CREATE USER 'root'@'%' IDENTIFIED BY '원하는 비밀번호';
GRANT ALL PRIVILEGES ON *.* TO 'root'@'%' WITH GRANT OPTION;
CREATE USER 'root'@'DESKTOP-내컴퓨터이름.mshome.net' IDENTIFIED BY '1111';
GRANT ALL PRIVILEGES ON *.* TO 'root'@'DESKTOP-내컴퓨터이름.mshome.net' WITH GRANT OPTION;
FLUSH PRIVILEGES;
5. MYSQL 설정 파일 수정(bind-address)
sudo nano /etc/mysql/mysql.conf.d/mysqld.cnf
-- 이 부분 수정:
bind-address = 0.0.0.0
/*
저장: Ctrl + O → 엔터
나가기: Ctrl + X
*/

6. MySQL 재시작
sudo service mysql restart
+ 아마 재시작 했는데

이렇게 뜨는 사람이 있을 거다. 이럴 경우 아래 명령어로 서버 상태를 확인해준다.
만약 서버 상태가 Active: active (running) 라고 뜬다면 성공적으로 된거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sudo service mysql status
+ 추가적으로 MySQL 서버에 접속 테스트 (WSL 내부에서) 해보자.
아래 명령어 입력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mysql에 접속된다면 서버가 완벽하게 작동중인 상태다.
참고로 비밀번호 입력시 아무 움직임이 없어 보이는데 정상이다.
mysql -u root -p
7. WSL의 IP 확인
-- 우분투 터미널 창 열어서
ip addr show eth0
/*
→ inet 192.168.xx.xx/20 형식 IP 복사
→ 이게 Workbench에서 사용할 IP 주소
*/
!! 이제 Windows 쪽 작업
8. MySQL Workbench 설치
공식 홈페이지: https://dev.mysql.com/downloads/workbench/
!! 윈도우에서 MySQL Workbench 설치시 Visual C++ 2019 재배포 패키지가 필요함 !!
공식 다운로드 링크:
Microsoft Visual C++ 2015-2022 Redistributable (x64)
9. Workbench 실행이 안 될 경우 대처
-- cmd 창에 다음 명령어 실행
"C:\Program Files\MySQL\MySQL Workbench 8.0 CE\MySQLWorkbench.exe" -swrendering
10. Workbench에서 WSL의 MySQL 서버 접속 설정

- Workbench 실행 → 왼쪽 + 버튼 (New Connection)
- 다음 정보 입력:
항목 | 값 |
Homtname | WSL IP (예: 111.111.11.11) |
port | 3306 |
Username | root |
Password | (개인이 설정) |
- 성공시 저장 후 접속
🌟 참고사항
- WSL IP는 재부팅 시 바뀔 수 있음.
→ 매번 ip addr show eth0로 새로 확인 필요 - Workbench가 계속 안 열릴 경우엔 -swrendering으로 실행
- 필요에따라 IP 고정 또는 포트포워딩 설정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