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4_Python 순차구조

2025. 5. 14. 21:44·Python/Task

 

 

오늘은 파이썬의 자료형에 대해 먼저 배웠습니다. 

 

⊙파이썬이란? 사람이 읽고 쓰기 쉬운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컴퓨터에게 "이렇게 해"라고 명령할 때 사용하는 언어 중 하나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쉽고 직관적인 언어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파이썬의 특징으로 두 가지 정도만 뽑자면 간단하고 쉬워서 초보자가 입문하기 좋은 언어입니다. 또한 다양한 용도로 쓰여 웹 만들기, 게임,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 자동화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됩니다. 

 

다음으로 오늘자 배운 자료형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자료형이란?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숫자형과 문자열이 있습니다. 숫자형은 정수(1, 2, 3)와 실수(1.2, 3.14) 등으로 나뉘며, 다양한 연산이 가능합니다. 숫자형을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사측연산이 있는데 사람들이 흔히 가장 잘 아는 " +, -, /, * " 이 외로 " **, %, // " 등의 연산자들이 더 있습니다. 차례로 제곱을 나타내는 연산자, 나눗셈 후 나머지를 리턴하는 연산자, 나눗셈 후 몫을 리턴하는 연산자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문자열을 변수에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apple = "Steve Jobs was the ex-CEO of Apple"
print(apple)
#결과값: Steve Jobs was the ex-CEO of Apple

 

 저는 " apple "이라는 변수에 ' Steve Jobs was the ex-CEO of Apple '이라는 문자열을 저장하여 print 로 결과값을 도출했습니다. 여기서 print()는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로,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음으로 가장 대표적인 입력과 출력에 대해서 한 번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입력은 사용자가 값을 넣는 것이고, 출력은 그 값을 계산하거나 처리한 결과를 화면에 보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크게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a라는 변수를 지정하여 거기에 문자열을 입력해볼게요. 입력을 하려면 " input() " 이라는 함수가 필요합니다. 

 a = int(input("첫 번째 숫자를 입력해주세요: "))
 b = int(input("두 번째 숫자를 입력해주세요: "))
 
 result1 = a + b
 result2 = a * b
 
 print("두 수의 덧셈은", result1, "두 수의 곱셈은", result2)

 

 이런 예시처럼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숫자를 입력받을 때엔 꼭 int 함수를 써야 합니다. int는 문자열을 정수로 바꿔주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를 쓰지 않으면 오류가 날 수 있으니 꼭 주의하여 주세요. 이후에 변수 2개로 합과 곱을 따로 나눠주었어요. result1 = (a + b), (a * b) 로 한 번에 적어줄 수도 있지만 나중에 오류가 난다면 파악하기 위해 따로 썼습니다. 마지막으로 print 함수로 결과값을 도출했습니다.

 

 오늘자 많은 내용을 배웠지만 짧게 요약을 해봤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 내주신 과제에 대해 풀어볼게요. 과제는 총 5가지 문제로 1번부터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 분석 → 설계 → 구현 순으로 하라 했으니 같이 해보겠습니다. 

 

더보기

과제01.

두 수를 입력 받아 뺄셈을 한 결과를 출력하는 순서도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이 문제를 보며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두 숫자를 입력받고, 빼는 기능이 필요하구나. 라는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입력을 받을까 라는 생각을 했을 때 두 수에서 정수인지 실수인지에 대한 언급은 없으니 정수로 하겠습니다. 여기서 input()을 사용하되, 문자열로 들어오니까 int()로 변환하겠습니다. 다음으로 a - b로 차이를 구하고 계산 결과를 변수(res)에 저장하며 print()로 결과를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출력할 것입니다.

 

a = int(input("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입력받은 수를 정수로 변환
b = int(input("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res = a-b #두 수의 차

print("두 숫자의 차는", res, "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 순서도를 작성해 봤을 때

 

 순서도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면, 먼저 단말을 써서 시작을 알렸습니다. 이후 준비라는 순서도 기호를 써서 a와 b에 정수를 받겠다는 것을 나타냈으며 입.출력 기호로 a, b에 들어가는 정수를 사용자로부터 받았습니다. 처리 기호를 써서 res 변수에 들어갈 연산자를 사용하였으며 서류 기호를 이용하여 결과값을 도출한 후에 단말 기호로 종료하였습니다.

 

과제 2번에 대해 풀어보겠습니다.

더보기

과제02

밑변과 높이를 입력 받아 삼각형의 넓이를 구해 출력하는 순서도와 파이썬의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이 문제를 보기 전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대표적인 공식으로는 " 넓이 = (밑변 × 높이) / 2 " 이렇게 됩니다. 밑변과 높이를 입력받으면 높이는 바로 알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까와 같이 문자열로 입력 받을테니 int 함수를 써서 정수로 변환하겠습니다. 이후에 넓이라는 변수를 생성하여 공식을 대입하고 결과값을 도출하겠습니다. 

base = int(input("밑변을 입력하세요: "))
height = int(input("높이를 입력하세요: "))

extent = (base * height) / 2  #넓이 구하는 공식

print("삼각형의 넓이는", extent)

 

 밑변과 높이는 각각 뜻에 맞춘 변수로 이름을 칭하였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코드의 순서도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아까와 같이 단말 기호로 시작을 알렸습니다. 다음, 준비 기호를 사용하여 밑변과 높이를 지정한 변수에 어떠한 값을 받을지에 대해 작성하였고 입출력 기호를 사용하여 각 변수에 들어갈 정수를 입력받은 후 처리 기호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에 대입하였습니다. 이후 서류 기호로 결과값을 도출 후 종료하였습니다.

 

더보기

과제03

반지름을 입력 받아 원의 둘레를 구해 출력하는 순서도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2번과 같이 이 문제를 시작하기 전 원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원의 둘레 = 2 × π × 반지름 " 여기서 π는 대표적으로 3.14라 칭하므로 식에 대입할 때 3.14로 적겠습니다. 전과 달리 반지름만 입력 받아 식에 대입하여 결과값을 도출해보겠습니다.

radius = int(input("원의 반지름을 입력하세요: "))

circumference = (2 * 3.14 * radius)  #원의 둘레 구하는 공식

print("원의 둘레는", circumference)

 

 어느 때와 같이 단말을 사용하여 시작임을 알리며 준비 기호를 사용하여 반지름에 대한 정수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하며 입출력 기호로 사용자가 작성한 정수를 입력받았습니다. 처리 기호로 원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을 사용해 변수에 지정값으로 넣었습니다. 이후 서류 기호로 결과값을 도출했고 단말 기호로 종료를 알렸습니다.

 

더보기

과제04

미터 단위의 길이를 입력받아 킬로미터와 미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순서도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여기서 가장 먼저 봐야 할 점은 미터 단위의 길이를 입력 받아 킬로미터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1km = 1000m입니다. 이건 변할 수 없는 불변의 공식입니다. 이 점을 유의하여, 먼저 입력받아 변화하라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전과 달리 킬로미터와 미터로 변환하라 했습니다. 그 말은 이번에는 연산자가 총 2가지가 씌인다는 말입니다. 바로 코드 작성해 보겠습니다.

length = int(input("길이를 입력하세요 (미터): "))

km = length // 1000   # 몫: 킬로미터
m = length % 1000     # 나머지: 미터

print("변환 결과:", km, "km", m, "m")

 

 

 이 순서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곱셈 뺄셈이 아닌 " //, % " 연산자가 나왔습니다. 가장 처음에 설명했다 싶이 " // = 나눗셈의 몫, % = 나눗셈의 나머지 "입니다. 이제 순서도를 살펴보면 단말을 써서 시작을 알렸습니다. 이후에 준비 기호로 길이를 사용자로 부터 입력받을 수 있게 작성하고 입출력 기호로 길이를 입력 받았습니다. 가장 주의해서 볼 곳은 처리 기호입니다. 1000m가 1km이므로  km라는 변수를 지정하여 그 안에 입력받은 길이를 1000으로 나눈 몫이 km라고 정의하였고, 그 나머지가 m라고 지정하였습니다. 그렇게 결과값을 도출하여 종료하였습니다.

 

더보기

과제05

분 단위의 시간을 입력받아 일, 시간, 분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순서도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마지막 과제입니다. 살펴봐야 할게, "분 단위"로 시간을 입력받는다 했습니다. 그럼 일, 시간, 분으로 변환할 때 하루가 12시간 이니까 "12*60=1440" 라는 정수를 먼저 생각하고 가겠습니다. 분 단위면 무조건 정수이므로 int로 받고 일, 시간, 분으로 변환해야 하니 그 수는 방금 계산한 1440을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minutes = int(input("시간을 분 단위로 입력하세요: "))

days = minutes // 1440
minutes_left = minutes % 1440
hours = minutes_left // 60
minutes_final = minutes_left % 60

print("결과:", days, "일", hours, "시간", minutes_final, "분")

 

 가장 먼저 단말로 시작을 하였습니다. 이후 분단위로 받으라 하여 int와 input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기호를 사용하였고 입출력 기호로 정수를 받았습니다. 처리 기호로 적힌 변수와 연산자 중에 왜 시간과 분은 남은 분에서 하는 지 궁금하실 분도 계실것 같습니다. 이유는 처음에 입력받은 값에서 에서 1440분(하루단위)을 먼저 뽑고 남은 분에서 시간(60분 단위)을 계산하고, 또 거기서 남은 게 진짜 마지막 분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남은 분은 꼭 필요합니다. 그 시간과 분은 남은 부분을 다시 쪼개서 구할 수 있으니까요.

 

 

 길면 길고 짧다면 짧았을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과제 5번을 끝으로 5/14 일자의 글은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미리보기용

'Python > T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7_Python 함수  (1) 2025.05.27
5/23_Python For문  (0) 2025.05.23
5/19_Python 선택구조  (0) 2025.05.19
'Python/T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5/27_Python 함수
  • 5/23_Python For문
  • 5/19_Python 선택구조
eull
eull
eull 님의 블로그 입니다.
  • eull
    eull 님의 블로그
    eull
  • 전체
    오늘
    어제
    • 개발 환경 (31)
      • MYSQL_Workbench (1)
        • setting (1)
      • Linux_Ubuntu (2)
        • Task (1)
        • Setting (1)
      • C (19)
        • Concept (4)
        • Task (8)
        • Project (1)
        • Study (5)
        • Setting (1)
      • C++ (1)
        • Study (0)
        • Concept (1)
      • Python (6)
        • Task (4)
        • Project (2)
      • 일상 (1)
      • Setting (1)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eull
5/14_Python 순차구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