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ython For문이란?
더보기
파이썬의 for 문은 시퀀스(예: 리스트, 튜플, 문자열, range 등)의 각 요소를 하나씩 꺼내어 반복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반복문입니다. 다른 언어의 전통적인 for 문(초기값, 조건, 증감식)과는 달리, 파이썬의 for 문은 **"컬렉션을 순회(iterate)"**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기본 문법
for 변수 in 반복가능한객체:
반복할_코드
예시로 하나 들자면
fruits = ['apple', 'banana', 'cherry']
for fruit in fruits:
print(fruit)
#apple
#banana
#cherry
✨ 특징 요약
- for 문은 **리스트, 튜플, 문자열, 딕셔너리, range 등 반복 가능한 객체(iterable)**와 함께 사용 가능
- 반복 대상에서 하나씩 값을 꺼내어 변수에 저장하고, 블록 내 코드를 실행
- 파이썬스러운 직관적인 반복 방식 제공
🌟 과제 13번, 5부터 15까지 출력하는 코드 ( ✔︎ while문으로)
더보기
i = 5
while i <= 15:
print(i, end=' ')
i += 1
# 실행결과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과제 14번, 5부터 15까지 출력하는 코드. ( ✔︎ for문으로)
더보기
for i in range(5, 16):
print(i, end=' ')
# 실행결과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과제 15번, 0부터 1까지 출력하는 코드.
더보기
i = 10
while i >= 1:
print(i, end=' ')
i -= 1
# 실행결과
# 10 9 8 7 6 5 4 3 2 1
🌟 과제 16번, 1부터 "입력받은 수"까지의 합을 출력하는 코드.
더보기
a = int(input("정수: "))
sum = 0
for i in range(0, a+1):
sum += i
print("1부터 %d까지의 합:"%(a), sum)
# 실행결과
# 정수: 10
# 55
🌟 과제 17번, 1부터 100까지의 수 중 3의 배수의 합을 출력하는 코드. ( ✔︎ in range(3, 101, 3): )
더보기
b = 0
for i in range(3, 101, 3):
b += i
print(b)
# 실행결과
# 1683
🌟 과제 18번, 1부터 100까지의 수 중 3의 배수의 합을 출력하는 코드. ( ✔︎ if i%3==0: )
더보기
result = 0
i = 1
while i <= 100:
if i % 3 == 0:
result += i
i += 1
print(result)
# 실행결과
# 1683
🌟 과제 19번, 1, 2, -3, 4, 5, -6, ..., -99, 100의 합을 구해 출력하는 코드.
더보기
sum = 0
for i in range(1, 101, 1):
if i%3==0:
sum -= i
else:
sum += i
print(sum)
# 실행결과
# 1684
🌟 과제 20번, 입력받은 숫자의 약수와, 약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코드.
더보기
a = int(input("정수: "))
data = [] # 약수를 저장할 빈 리스트 생성
for i in range(1, a + 1):
if a%i==0: # a를 i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면 i는 a의 약수
data.append(i) # 약수 리스트에 추가
print(*data, ":", len(data))
# 실행결과
# 1, 2, 3, 5, 10, 15, 30 : 8
🌟 과제 21번, 세 수의 공약수를 출력하는 코드.
더보기
a = int(input("정수: "))
b = int(input("정수: "))
c = int(input("정수: "))
d = []
for i in range(1, a+1):
if (a % i == 0) and (b % i == 0) and (c % i == 0):
d.append(i)
print(*d)
# 실행결과
# 정수 : 300
# 정수 : 400
# 정수 : 256
# 1 2 4
🌟 과제 22번, 소수를 판별하는 코드.
더보기
a = int(input("정수: "))
# 1과 2는 특별한 경우
if a == 1:
print(a, ": 소수 아님")
elif a == 2:
print(a, ": 소수임")
else:
for i in range(2, a):
if a % i == 0: # 나누어떨어지면 소수 아님
print(a, ": 소수 아님")
break
else: #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면 소수임
print(a, ": 소수임")
# 실행결과
# 정수: 45
# 45 : 소수아님
🌟 과제 23번, 피보나치의 수열의 20번째 항까지의 합을 구하는 코드.
더보기
n = 20
a, b = 1, 1
total = 0
for _ in range(n):
total += a
a= b
b = a + b
print(total)
# 실행결과
# 17710
🌟 과제 24번, 최솟값을 구하는 코드.
더보기
min=None
while True:
inputs_1=input("정수 : ")
a=int(inputs_1)
if a==0:
break
if (min is None) or (a < min):
min=a
print("최솟값 : ", min)
# 실행결과
# 정수: 2
# 정수: 4
# 정수: 6
# 정수: 9
# 정수: 5
# 정수: 0
# 최솟값 : 2
🌟 과제 25번, 다음과 같이 출력하는 코드. (별 찍기와 비슷한 문제)
더보기


for i in range(1, 6):
for j in range(1, i+1):
print(i, end = " ")
print()
print()
for i in range(1, 6):
for j in range(1, 7-i):
print(j, end = ' ')
print()
print()
for i in range(1, 6):
for j in range(6-i, 0, -1):
print(j, end = ' ')
print()
🌟 과제 26번, 1!, 2!, 3!, 4!, 5!의 합을 출력하는 코드.
더보기
fact = 1
fact_1 = 0
for i in range(1, 6):
fact = fact*i
fact_1 += fact
print(fact_1)
# 실행결과
# 153
🌟 과제 27번,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출력되는 구구단 코드.
더보기


for i in range(1, 10):
for j in range(2, 10):
print(f"{j}*{i} = {i*j}", end=' ')
print()
'Python > T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7_Python 함수 (1) | 2025.05.27 |
---|---|
5/19_Python 선택구조 (0) | 2025.05.19 |
5/14_Python 순차구조 (0) | 2025.05.14 |